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한국교육공학회

국문학회지 논문 보기

home    >    학회지 안내    >    국문학회지 논문 보기
[40권 2호] 이주원, 임규연 (2024). 협력학습 지원 도구의 효과: 고등학생의 협력적 조절 및 협력학습 성과를 중심으로
  • kset85
  • |
  • 1015
  • |
  • 2024-06-30 01:54:02

학교 교육에서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습자의 핵심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학 습 맥락으로 협력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협력학습은 능동적 참여와 깊이 있는 상호작용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학습자에게 여러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으며 효과적 인 협력학습을 위해서는 자신 및 집단의 학습을 조절하기 위한 전략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탐색한 집단인식도구와 협력스크립트를 통합한 기능의 협 력학습 지원 도구를 본 연구의 맥락에 맞게 변형하여 국내 고등학교의 협력학습에 제공하 고 그 효과를 탐색하였다. 총 97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약 2주간 진행된 협력학습에 도구를 제공한 결과, 실험군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조절과 타인조절 전략 사용이 통제군 학습자보다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협력학습 성과에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 지 않았다. 협력학습 지원 도구에 나타난 학습자의 인지, 동기, 정서적 상태 이력에 기반 하여 실험군 학습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도구에 대한 인식과 사용 행 동이 ‘부정/소극’, ‘긍정/적극’, ‘낮은 신뢰/사용 회피’의 3가지로 분류되었으며 범주화된 집 단별 협력학습 성과와 협력학습 경험에서 유의미한 패턴이 발견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 로 학교 교육을 위한 협력학습 지원 도구의 필요성과 개선점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협력학습 지원 도구, 집단인식도구, 협력스크립트, 협력적 조절, 협력학습 성과 

  • 작성자
  • 비밀번호

댓글 작성

이전글 [40권 1호] 전신영,이현우 (2024). 대학생의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갈등을 감지하는 ChatGPT 기반의 챗봇 개발
다음글 [40권 2호] 호민애, 변호승 (2024). 디지털 도구 활용 독서토론 모형 개발 연구
비밀번호 입력
확인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