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한국교육공학회

국문학회지 논문 보기

home    >    학회지 안내    >    국문학회지 논문 보기
[39권 1호] 손화정,최명숙 (2023). 온라인 학습 콘텐츠 유형에 따른 뇌파 활성도 차이 분석
  • admin
  • |
  • 1901
  • |
  • 2023-03-31 08:20:11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뇌파(EEG)를 이용하여 온라인 학습 콘텐츠 유형에 따른 뇌파 활성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실험조건에 부합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전문대학생 24명의 학년과 학점을 고려하여 네 개의 동질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온라인 학습 콘텐츠는 네 가지 유형이며 교수자 중심형(Face+Voice), 교수자 텍스트 중심형(Face+Voice+Text), 텍스트 중심형(Text+Voice), 동영상 중심형(Video)으로 제작하였다. 학습 콘텐츠를 학습하는 동안 학습자 대뇌 전두엽의 뇌파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뇌파 활성도 측정을 위한 장비로는 뮤즈 2(Muse 2, InteraXon, Canada)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감마파를 활용하여 뇌파 주의 집중도와 주파수 및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 중심형은 뇌파 활성도가 다른 유형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뇌파 주의 집중도는 높은 편이다. 본 유형은 학습자가 학습 정보를 처리하거나 집중력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교수자 텍스트 중심형은 네 가지 유형 중 베타파와 감마파 수치가 가장 높게 활성화되었으며, 학습자의 뇌파 주의 집중도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유형은 온라인 학습 중 인지 과제 수행에 적합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텍스트 중심형 온라인 학습 콘텐츠를 학습한 학습자에게서 세타파와 감마파가 높은 수준으로 활성화되었으며, 이는 시각 및 청각 단기기억 학습의 핵심 언어 중추인 베르키네 영역과 브로카 영역이 활성화된 결과이다. 넷째, 동영상 중심형은 세타파와 알파파의 활성도는 높으나 감마파의 활성도는 낮게 나타났다. 학습자는 편안한 상태에서 정보를 처리하며 높은 집중력이 발휘되나, 고도의 인지 작용이 일어나기에는 어려운 유형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설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온라인, 학습, 콘텐츠, 뇌파, EEG 

  • 작성자
  • 비밀번호

댓글 작성

이전글 [39권 1호] 김현영,김현진 (2023). Z세대의 모바일 학습 일상에 관한 디지털 문화기술지
다음글 [39권 1호] 신민철,장재홍 (2023). 학교 ICT 활용 수업 활성화 방안: 중학교 교사, 교장, 업무책임자 인식을 중심으로
비밀번호 입력
확인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