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한국교육공학회

국문학회지 논문 보기

home    >    학회지 안내    >    국문학회지 논문 보기
[39권 4호] 진성희,유미나 (2023). 지속가능한 대학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체계 개발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kset85
  • |
  • 1558
  • |
  • 2023-12-31 00:30:58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대학교육을 위해 강조되어야 할 학생지원역량과 변화협업역량을 포함한 교수역량체계를 개발하고, 이를 진단할 수 있는 교수역량 지표를 개발하여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4개 역량군(기본역량, 수업역량, 학생지원역량, 변화협력역량), 16개 하위역량, 48개로 구성된 진단지표를 개발하였다. 도출된 교수역량체계와 교수역량진단지표에 대해 타당화를 실시하고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4대 교수역량군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교수역량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교수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t-검정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는 Borich 요구도 분석과 초점의 소재 모형(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역량별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에 있어서 16개 하위역량 중 8개 역량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촉진역량, 수업운영역량, 수업설계역량, 진로개발지원역량, 수업개선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속가능한 대학교육의 발전을 위해 과거에 요구되어 온 교수역량과는 차별화된 교수역량체계를 제안하였고, 교육 요구도 분석을 통해 교육 요구도가 높은 하위역량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로는 자기보고식 평가방법과 함께 교수자의 교육활동을 통해 산출된 행동지표를 교수역량 진단에 활용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지속가능 대학교육, 교수역량, 교수역량체계, 진단지표, 교육 요구도 분석

 

  • 작성자
  • 비밀번호

댓글 작성

이전글 [39권 4호] 홍원준,이선희 (2023). 중학교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맞춤형 학습을 위한 학습자 유형화 탐색: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다음글 [39권 4호(특집호)] 임철일,고보경,정예일,이은서,전민선,김승하 (2023). 교수설계를 위한 생성형 AI 기반 챗봇의 활용 방안 탐색: ChatGPT와 RPISD모형을 중심으로
비밀번호 입력
확인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TOP